본문 바로가기
비효율적 인간/반려식물

겨울에 식물 사면 안 되는 이유? 과습 식물 ‘칼라데아 로세오펙타’를 수경재배로 살려낸 후기

by 비가니즘 2021. 6. 22.
반응형

식물 수경재배로 과습 피해에서 회복시킬 수 있을까?
겨울에 무심코 인터넷으로 40여 종의 식물을 주문한 초보 식물 집사의 결과는?
30종은 살아남았고, 대부분의 허브류는 냉해와 과습으로 떠나보냈습니다.

이 글은 그중 한 아이, **‘칼라데아 로세오펙타’**를 수경재배로 살려낸 기록입니다.

2021년 2월 24일 칼라데아 로세오펙타 과습상태

배송 온 첫날에 찍은 '칼라데아 로세오펙타' 이미 과습으로 인해서 잎 끝이 갈색으로 변한 상태였습니다.

2021년 2월 27일 칼라데아 로세오펙타 뿌리 과습

🌿 인터넷으로 겨울에 식물 사지 마세요 (특히 어린 개체)

  • 겨울엔 배송 중 냉해 피해가 많습니다.
  • 판매처에서는 뿌리 흔들림 방지용으로 물을 흠뻑 준 채 배송하는데,
    어린 식물은 그 사이 과습 + 냉해 이중 피해를 입기 쉽습니다.

📌 초보 꿀팁:
도착 즉시 분갈이 금지. 하지만 흙이 젖어 있다면 통풍 확보 및 조기 확인은 필수!

 

2021년 3월 23일 칼라데아 로세오펙타 과습피해

📸 칼라데아 로세오펙타 과습 피해 과정

  • 2월 24일 도착 당시 이미 잎 끝이 갈색으로 물듦
  • 2월 27일 뿌리 확인 → 과습으로 썩기 시작
  • 3월 23일 잎 말림 심화, 생장 멈춤
  • 4월 9일 수경재배 시작 → 희미한 뿌리 발생
  • 5월 7일 수경 1달 → 뿌리 완전 재생
  • 6월 14일 흙으로 재정착 + 새잎 2장 완전 회복

2021년 4월 9일 칼라데아 로세오펙타 수경재배

 

2021년 5월 7일 로세오 펙타 수경재배 한달 뒤

 

2021년 6월 14일 다시 살아 난 로세오 펙타

그리고 한 달 뒤, 새 잎이 두장이나 났다. 3일 뒤에 보니 새로난 잎의 분홍색 무늬도 선명해졌다.
3개월 만에 살려낸 '로세오 펙타'... 휴.. 정말 감개무량하다.
포스팅하려고 보니 돌돌 말린 새 잎이 또 올라오고 있었다.
흙에 완전 적응했나 보다.
다른 사람들의 포스팅을 보니 대부분 과습으로 인해 죽어가는 식물들을 수경재배로 응급처치를 해서 살려내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조금의 인내심이 필요하지만 충분히 치료해서 살려낼 수 있다는 경험을 얻고 나니 식물 키우기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다.

💧 수경재배로 과습 식물 살리는 법 (응급처치용)

  1. 흙을 완전히 제거하고 뿌리를 씻어냅니다
  2. 썩은 뿌리는 깨끗이 잘라냅니다
  3. 투명 유리컵 + 깨끗한 물에 뿌리만 담급니다
  4. 햇빛은 간접광, 물은 2~3일에 한 번씩 교체
  5. 산소 공급 & 수분 관리에 주의합니다.

💧 수경재배 시작하려면 이것부터!

수경재배 키트
과습이나 뿌리 손상으로 힘들어하는 식물에게 응급처치용으로 추천해요. 투명 용기 + 산소 순환도 고려한 구성!

🛒 쿠팡에서 키트 보기

※ 본 글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수경재배에도 영양은 필수!

식물용 액상 영양제
수경재배 중에는 토양 대신 물에서 영양분을 공급해야 해요. 번거롭지 않게 몇 방울로 OK!

🧪 쿠팡에서 영양제 보기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초보 식물 집사의 깨달음

  • 겨울에 식물 배송은 리스크가 크다
  • 과습은 눈에 띄기 어려운 은근한 치명상
  • 수경재배는 응급처치로 매우 효과적이지만 꾸준한 관리가 전제

💬 "식물을 들인 건 내 선택이었지만, 그 생명을 책임지는 건 나의 몫이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