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콘텐츠 수익화 실험실/주린이 일기

12) 박스권의 시작인가? (코스피 지수 3039.53 )

by 비가니즘 2021. 3. 22.
반응형

0. 주식투자 3개월 + 2 주 차. 

코스피 지수가 3000을 넘은 뒤로 한 주 동안 지수가 오르면 그다음 한 주가 떨어지는 식으로 반복이 되었다. 

한국 주식은 그동안 박스피라는 말을 들었다고 하는데, 단기로 투자를 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재미가 없을 것 같긴하다. 

저번 주에 해약한 청약은 일단 네이버 통장에 넣어두고 5월 2일 공매도 재개 이후 하락한 종목을 사기로 마음을 먹었다. 

국내 주식과 해외 주식의 비율이 4:1 정도라서 

코스피 지수의 등락과 함께 내 수익률로 함께 움직이고 있다.

해외 주식을 더 늘려볼까?라는 생각을 잠시 해 보았지만 일단 5월까지는 상황을 지켜보는 걸로 정했다. 

 

가끔은 그런 생각을 한다.

매도해서 인출을 하지 않는 이상 통장에 찍힌 숫자에 불과한데 왜 이토록 많은 사람들이 전전긍긍하게 되는 걸까?

나 또한 아닌 척 하고 있었지만

매주 수익률을 기록으로 남기겠다며 들여다보고 있다는 건 주식에 매여있다는 말이다.

주식을 하는 나의 욕망은 무엇인가?

물론 돈을 벌고 싶다는 게 욕망의 출발이겠지만 

목표 수익률을 정하지 않으면 수익이 나는 상황에서도 계속해서 불만족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생기게 되고

투자를 하는 내내 불행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주식을 시작한 뒤로 어디서 개인정보가 새었는지 모르겠지만 

상한가를 가는 종목을 알려주겠다는 문자를 종종 받는다. 

딱 봐도 스팸 문자 같은데, 정말 거길 들어가서 돈을 지불하는 사람이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지만

이런 문자를 보내는 돈과 시간을 들이는 건 누군가는 지금도 그 문자를 보고 그들에게 돈을 지불하기 때문이다. 

내 욕망의 한계를 두지 않고 계속해서 키우게 된다면 나도 어느 순간에 그런 광고에 낚일지도 모른다. 

처음 정했던 원칙으로 돌아가서

내가 잘 아는 기업에 투자하고, 장기로 투자하기로 했으니 일희일비 하지 말자. 

 

 

1. 주식 투자 3개월 + 2 주 차. 주식 수익률

* 주식 총 수익률 : +14.27% +7,634,360원

 

 

2. 펀드 수익률

 

여유 돈이 생기면 펀드를 하자고 머리로만 생각하고 결국은 개별 주식 종목을 매수하였다. 

역시나 사람은 합리적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