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덕질기/문장수집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날 권리 <19호실로가다> 도리스 레싱

by 비가니즘 2021. 1. 17.
반응형

<19호실로 가다> 도리스 레싱

 

19호실로 가다 - 도리스 레싱

<이번 생은 처음이라> 드라마를 보면서 많은 위로를 받았고,

그 속에서 등장했던 책이라 내내 읽어야지 하다가 뒤늦게 보았다. 

책은 노벨문학상 수장 작가 도리스 레싱의 단편소설을 엮은 것이다. 

페미니즘의 고전이라고 하지만, 나는 사회생활을 하는 인간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소설이라고 생각한다. 

 

그중에 표제작이 된 <19호실로 가다>와 <옥상 위의 여자>가 가장 인상 깊었다. 

<19호실로 가다> 는 결혼 제도에 순응하며 자신의 자유의지를 모두 포기한 전업주부의 이야기이다. 

얼마 전 보았던 <스토너>가 타인의 기대에 맞추어 순응하며 살았던 한 남성의 허망한 자기 고백이었다면,

<19호실로 가다>는 누가 봐도 남부러울 것 없는 가정을 가꾸던 수잔의 자기 결정권이 없는 상태의 불행을 말한다. 

집이라는 공간에서 전업주부가 느끼는 고통을 사람들은 잘 이해하지 못한다.

출퇴근을 하는 사람들은 퇴근 후 집이 가지는 의미가 휴식이겠지만

전업주부에겐 늘 타인을 향한 돌봄 노동의 연속이다. 

애들과 남편이 모두 집을 나갔을 때 혼자 만의 시간이 가장 좋다는 사람들의 고백이 한가한 소리가 아니다. 

누구나 그 어떤 역할과 의무, 프레임을 벗어나 오롯이 혼자인 자기 자신을 알아야 흔들리거나 무너지지 않을 수 있다. 

그에겐 그런 공간이 간절했고, 런던의 후미진 호텔의 '19호실'이 대안이 되었다. 

그곳이 화려하거나 더러운 건 중요하지 않았다.  

수잔의 남편인 매튜는 일정 시간 동안 밖을 나가 있는 그가 차라리 애인이 생겼기를 바란다.

본인이 이해할 수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보다, 이해할 수 있는 문제를 안고 있는 게 편하기 때문이다.

수잔은 그 공간을 지키는게 중요했기에 결국 그가 이해할 수 있는 답변을 주어버린다.

그러자 매튜는 안심을 하고 자기의 불륜을 고백을 한다. 

 

인간은 일정부분 이기적이고, 자신만의 영역이 보장되지 않으면 불행하다고 생각한다.

누구나 고독과 불안함을 느낀다. 

자신을 사랑해주는 사람들로 둘러싸여 있어도 누구나 ’ 19호실’ 이 필요하다.

누가 보아도 완벽하지만, 그 곳에 오로지 자신으로 지낼 수 있는 자유가 보장되지 않는다면 그건 결코 자신을 위한 삶이 아닌 것이다. 

다만 그걸 돌아볼 수 있는 혼자만의 시간이 주어진다면 그 또한 잘 넘길 수 있을 것이다. 

누가 보아도 행복하고 화려한 삶을 사는 사람들의 자살에 많은 이들이 쉽게 비난을 한다.

뭐가 부족해서?

타인의 시선 속에 사는 사람들은 자신답게 보낼 수 있는 순간들이 많지 않아 불행했을 것이다.

그리고 본인 스스로도 왜 다 가졌는데 행복할 수 없는거지라는 문제에 빠져 더 우울했을 것이다. 

그 속에 자기는 없고, 자기를 바라보는 타인들만 있을 뿐이다.

본인 조차 타인들이 바라보는 자신에 대한 평가에 익숙해지고,

자신의 감정을 돌아보지 못한 채 휘둘릴 수 밖에 없게 되는 것 같다. 

이 책은 두고 두고 읽으며 공감받고 치유 받고 싶은 책이다. 

나 자신으로 살자. 

 

19호실로 가다
국내도서
저자 : 도리스 레싱(Doris Lessing) / 김승욱역
출판 : 문예출판사 2018.07.05
상세보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