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주식 투자 5개월 + 2주 차. 주식하는 마음
포트폴리오 정리를 위해 펀드도 환매해보고 가지고 있던 종목도 몇 개는 정리 하였다.
기존에 있는 종목들 중에 공매도 이후에 하락한 종목을 매수를 하였다.
4월에 박스권에 갇혔다고 했을때 코스피 지수가 3131.88이었는데,
그때 추가로 매수 했던 종목들이 지금 훨씬 가격이 더 떨어졌다.
아무래도 성급한 성격 덕에 싸게 사는 재주는 없는 것 같다.
그리고 가지고 있던 펀드 3개를 모두 환매 신청을 하고 10일 뒤에 금액이 들어왔는데
내가 예상했던 것 보다 금액이 적게 들어왔다.
아직까지는 잃지 않는 투자를 하고 있지만, 아직도 모르는 게 너무 많지만 그렇다고 열심히 공부할 열정도 사실 없다.
그나마 블로그에 기록을 하니 돌아볼 수 있는 자료가 쌓여서 느리지만 경험이 쌓이고 있다는 생각은 든다.
주식으로 단기간에 큰 부자가 되는 꿈은 내려 놓아야 할 것 같다.
* 멀티에셋글로벌클린에너지증권자투자신탁
100만 원의 금액을 넣었었다. 투자기간은 142일이었고 4/29일에 환매 신청을 했다.
이날 기준으로 평가 금액은 1,040,763원 이었고 손익률이 4.08%였다.
그 전주에 계속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이다가 플러스가 되어서 어서 정리하고 싶어서 환매를 하였는데
결과적으로는 원금보다 적은 995,612원이 들어왔다.
나중에 매일로 받은 투자 수익률 보고서를 보니 하루지난 4/30일 기준으로 적용되었다.
평가 금액은 1,023,360원 누적 수익률은 1.97% 였다.
수수료, 보수, 세금 포함해서 3700원이 제하면 1,019,660원이 환매 예상금액이었는데,
왜 실제로 들어온 금액이랑 차이가 나는지 이유를 모르겠다.
인터넷에 찾아봐도 명확한 해답이 없고, 펀드마다 적용하는 기준도 복잡하고 까다로웠다.
무지한 나의 탓도 있지만 잘 알 수 없게 설계되어 있는 펀드 구조의 문제도 있는 것 같다.
앞으로 펀드는 다시는 가입하지 않을 생각이다.
1. 매도한 종목
* 5월 4일 매도 금액 (1,246,150원)
TIGER 미국나스닥바이오 10주 (1주 19,985원)
TIGER 미국 S&P 500 30주 (1주 11,810원)
TIGER 미국나스닥100 10주 (1주 69,200원)
=> ETF 관련 종목은 오늘 (5/15일) 기준으로 보면 잘 팔았다.
연금저축계좌랑 네이버 CMA계좌에서 산 종목이 같아도 따로 표시가 되어서
종목이 더 많아 보여서 헷갈려서 네이버 통장에 있는 중복 종목을 다 매도하였다.
앞으로 ETF 종목은 연금 계좌로만 매수할 예정이다.
* 5월 12일 매도 금액 (213,000원)
CJ 2주 (1주106,500원)
=> 투자 금액 대비 28,200원을 벌었지만 바로 다음날 한 주당 1주당 113,500원까지 올랐다가 지금 다시 1주당 107,500원으로 내려왔다.
매수 타이밍도 잘 못하지만, 매도 타이밍도 마찬가지인듯하다.
* 5월 13일 매도 금액 (302,500원)
연우 10주 (1주 30,250원)
=> 화장품 관련 종목이 두 개라 아모레퍼시픽을 두고 연우를 정리를 하였다.
*5월 14일 매도 금액 (1,795,000원)
삼성바이오로직스 2주 (1주 895,000원)
=> 바이오 관련 종목들을 코로나로 한창 주가가 올랐을 작년 12월에 매수를 해서
다들 수익률이 -10 ~ -30%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날 갑자기 모더나 위탁생산 소문(?)으로 인한 뉴스로 주가가 급등하길래 바로 매도를 하였다.
이날 한 주당 948,000원까지 올랐는데 성급하게 정리한 기분은 들지만
바이오 관련 종목도 줄일 겸 그동안 분식회계나 그런 사건들도 모르고 매수한 나의 무지를 털 수 있어서 만족한다.
예전에 엔씨소프트 게임 출시일에 주가가 급등할 때 1주를 매도한 경험이 있는데,
그 후로 주가가 내가 매수했던 금액보다 쭉 빠졌다.
삼성바이로로직스도 지켜보고 주가가 다시 빠진다면 매도 타이밍에 대해서는 조금 감을 잡을 수 있을 것 같다.
2. 매수한 종목
*5월 5일 미국 주식
씨그룹 ADR 1주 (239.91 USD)
* 5월 10일 미국 주식
씨그룹 ADR 1주 (222.53 USD)
테슬라 1주 (648.6 USD)
*5월 11일 미국 주식
테슬라 1주 (641 USD)
=> 미국 금리인상 소식 때문에 내가 가지고 있던 해외계좌 종목 모두가 하락했다.
그중에서 가장 하락폭이 컸던 '씨그룹 ADR'과 '테슬라'를 추가 매수하였는데,
결과적으로 이것도 너무 급하게 매수를 하였다.
며칠 동안 더 가격이 내려갔는데, 금요일이 되니 다시 회복하고 있었다.
이번의 계기로 뉴스가 나도 당일 하락할 때는 며칠을 좀 더 두고 봐야 한다는 교훈을 얻었다.
* 5월 11일 852,000원
LG 디스플레이 10주 235,000원 (1주 23,500원)
NAVER 1주 348,500원
셀트리온 1주 268,500원
* 5월 14일 453,250원
엠씨넥스 5주 227,750원 (1주 45,550원)
LG 디스플레이 112,500원 (1주 22,500원)
LG 디스플레이 113,000원 (1주 22,600원)
=> 엠씨넥스와 LG디스플레이는 하반기에 반도체 수급이 정상화되면 자동차와 핸드폰 판매가 늘 것 같아서 매수를 했는데,
올해가 하반기가 지나면 이런 식의 예측이 옳은지 알 수 있을 것 같다.
3. 주식투자 5개월 + 2주 차 수익률
* 주식 총 수익률 : +12.27% +6,902,365원
'콘텐츠 수익화 실험실 > 주린이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다시, 상승장 (코스피 3188.73/ 코스닥 977.46) (0) | 2021.05.31 |
---|---|
19) 하락할 때 포트폴리오 조정하기 (코스피 3144.30/코스닥948.37) (0) | 2021.05.25 |
17) 공매도를 기다리며 (코스피 지수 3147.86/ 코스닥 지수 983.45) (0) | 2021.05.02 |
16) 배당금을 받은 주식들의 가격이 떨어졌다 (코스피 지수 3,186.10/ 코스닥 지수 1026.82) (0) | 2021.04.26 |
15) 잠시라도 좋았다 "카카오주식" (코스피 지수 3198.62/코스닥 지수1021.62) (0) | 2021.04.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