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한 달 + 1 주 차 처음 맞는 조정장을 지나가는 마음
그동안 계속해서 고공 행진하는 주가를 보며 모두들 입을 모아 조정장이
온다고 마음의 준비를 하라는 말들이 많았다.
* 조정장 뜻 : 주가가 급등을 하고 충분한 이익을 얻어다는 생각이 들어 반대 매매 주식이 많이 나오면서 잠시 쉬어가는 장
급등한 종목 중에 20% 정도를 팔아서 현금화시킨 후에 차익 실현을 하고,
3월에 공매도가 다시 재개되면 하락장이 오니 그때 가지고 있던 현금으로 추가 매수를 하라는 조언도 들었다.
* 공매도 뜻 :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주식이 10만원으로 급등을 했다.
곧 조정장이 오거나 주가 하락을 기대하고 삼성전자의 주식을 잠시 빌려서 다른 이에게 10만 원에 판다.
빌린 주식으로 10만원이 생겼다.
이후에 주가가 하락하고 삼성전자의 주식이 5만 원이 되었다.
다시 5만원을 주고 삼성전자의 주식을 구매한다.
그리고 빌렸던 주식을 5만 원에 산 주식으로 갚는다.
그럼 최종적으로 남는 금액은 5만 원이 된다.
그러나 그 타이밍이나 하락 할 종목을 알기는 어렵고, 어차피 팔아도 돈이 생기면 다시 사고 싶은 우량주만 들고 있어서 이 조정장을 지나가기로 했다.
어쨌든 이번에 '조정장' 과 '공매도'에 대해선 확실히 이해를 했다.
아래쪽에는 순전히 미래의 날 위해서 주가의 변동을 기록해 본다.
01. 2021년 1월 8일 금요일에 추가 매수한 종목 수익률
* 넷마블 10주 1,340,000원
좀 더 하락했을 때 싸게 살 걸.. 이런 후회는 소용이 없다.
앞으로 BTS나 엔터 쪽 기업들에서 하는 VR 산업들이 잘 되었으면 좋겠다.
어쨌든 미래를 기대하고 산 주식이니 손절매는 하지 않는다.
회사가 망하지 않는 이상 매도하기 전까지는 손해 본 것이 아니라는 개념을 따르기로 한다.
그리고 한 주식에 몰빵하지 않고, 빚을 내어 투자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다릴 여력이 충분하다.
* 손절매 : 어느 정도의 손해를 감수하고서도 주식을 매도하는 것.
2021년 1월 11일 : - 70,000원 (-5.22%)
2021년 1월 12일 : - 90,000원 (-6.72%)
2021년 1월 13일 : - 70,000원 (-5.22%)
2021년 1월 14일 : - 75,000원 (-5.6%)
2021년 1월 17일 : - 100,000원 (-7.46%)
* 알테오젠 (바이오 주) 10주 1612000원
2021년 1월 11일 : - 52,000원 (-3.23%)
2021년 1월 12일 : - 79,000원 (-4.9%)
2021년 1월 13일 : - 92,000원 (-5.71%)
2021년 1월 14일 : - 88,000원 (-5.46%)
2021년 1월 17일 : - 105,000원 (-6.51%)
바이오 관련 주식은 아무리 잘하고 있다는 기사가 나도 이미 오를 대로 많이 올라서 계속해서 하락하는 국면이다.
그래도 2030년에는 60대 이상의 노령인구의 구매력이 더 높고, 의학 부분의 지출은 꾸준히 증가할 테니
앞으로도 팔지 않고 계속해서 들고 갈 예정이다.
* 이마트 주식 10주 1815000원
2021년 1월 11일 : - 80,000원 (-4.41%)
2021년 1월 12일 : +15,000원 (+0.83%)
2021년 1월 13일 : - 20,000원 (-1.1%)
2021년 1월 14일 : - 35,000원 (-1.93%)
2021년 1월 17일 : - 70,000원 (-3.86%)
소비재 관련 주식이라 코로나 이후에 주가가 상승할 걸 기대하고 구매를 하였다.
그래도 11일 보다 주가가 살짝 더 올라서 앞으로를 기대해본다.
* 아모레퍼시픽 10주 2010000원
2021년 1월 11일 : - 50,000원 (-2.49%)
2021년 1월 12일 : +20,000원 (+1%)
2021년 1월 13일 : +105,000원 (+5.22%)
2021년 1월 14일 : +125,000원 (+6.22%)
* 해외주식. 씨그룹 ADR
2021년 1월 11일 : - 1.11 USD (-0.53%)
2021년 1월 11일 : +6.42 USD (+3.07%)
2021년 1월 12일 : +17.47 USD (+8.35%)
2021년 1월 13일 : +20.35 USD (+9.72%)
2021년 1월 17일 : +16.74 USD (+8%)
나스닥 종목들이 꾸준히 하락하는 와중에도 '쇼피 Shoppe'는 선방을 했다.
* 투자 총평 : 저번주에 산 4 종목만 놓고 보면 수익률이 0에 가까우니 나 스스로도 조정장에서도 확률을 반반으로 만들어내었다.
역시나 아무런 공부가 되어있지 않아서 개별 종목 투자로는 많은 돈을 못 벌 것 같다.
그래도 조정장에서 많이 잃지도 았으니 장기 투자의 관점에서 보면 분산 투자가 정말 괜찮은 것 같다.
2. 한 달 + 1 주 차 조정장을 맞은 주린이의 주식 수익률
* 주식 총 수익률 : 5.39% 2,830,802원.
* 개별 종목 주식 투자 총평 : 따지고 보면 미국 S&P 500 같은 ETF 수익률이 +4% 정도이니 내 전체 포트폴리오가 5%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으니 나름 나쁘지 않은 것 같다.
우량주만 들고 가는 주린이는 회사가 망할 걱정은 일단 접어 놓으니 조정장에도 일단 마음에 여유가 있다.
게다가 한 종목당 '카카오' '네이버' 빼고는 회사가 망해도 멘털이 나가는 수준 이상의 금액을 투자하지 않았기 때문에
애초에 초조한 마음이 생길 환경을 만들지 않았다.
리스크 관리의 측면으로 보면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03. 펀드 수익률
*역시나 펀드 메니저들은 이 조정장 와중에도 열일을 하고 있었다.
앞으로 경제나 주식에 관해서 공부는 꾸준히 해야겠지만 추가 수입은 펀드에 투자하자.
04. 미래에셋 대우 투자 성향 & 투자 가이드 제공
딱히 미래에셋 대우랑 아무런 연관이 없지만 카카오 톡으로 매주 이런 걸 제공해주길래 한 번 포스팅해본다.
리스크 분산을 철저히 한 나의 투자 원칙에 맞게 '분산투자원칙'을 잊지 않는다는 진단이 마음이 들었다.
고득점자가 보유한 종목과 내 종목을 비교해서 유지와 축소의 기준도 판단해주는데,
'넷마블' 빼고는 고득점자도 유지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걸 보니 계속해서 내 종목들을 그냥 들고 가도 될 것 같은
안심을 주는 투자진단이었다.
주간 동안 매수, 매도, 보유 상위 종목이 비슷한 게 재미있다.
단기 채권을 많이 거래한 걸로 보아, 앞으로 금리가 인상한다는데 다들 동의를 한 것 같다.
해외주식도 매수, 매도, 보유 종목 1위가 '테슬라' 인 게 재미있다.
어쨌든 정말 '테슬라'는 뜨거운 감자임에 틀림없다.
주린이로서 장기 투자를 결정한 이유는
주식을 집중적으로 공부할 여력이 없기 때문에 우량주만 투자하기로 한 것이다.
그리고 매일 매일 타이밍을 맞추면서 도박처럼 하고 싶지 않았다.
더군다나 많은 주식을 가지고 있지도 않은데, 매수, 매도를 자주 하면 그만큼 거래 수수료도 무시 못할 정도로 쌓이기 때문에
최대한 팔지 않고 10년 이내에는 망하지 않을 것 같은 회사의 주식을 투자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어쨌든 투자는 개인의 철학과 판단의 몫이므로
나의 일기로 그 누군가 어떤 도움을 받을지 모르겠지만,
훗날 스스로 돌아보면 많은 공부가 되어있을 것 같아서 기대가된다.
다들 수익률이나 투자 금액을 모자이크 처리를 하던데,
딱히 숨길 이유도 못 느껴서 그냥 뒀다.
사실 모자이크 처리 하기가 귀찮기도하고
나중에 내가 보고 알고 싶기도 하다.
10년 후 누군가 우와 예전에 어떤 사람이 '삼성' 9만원에 샀대!!
지금 100만원이 됐으니까 완전 대박이다!!
이런 재미를 위해 기록을 남겨둔다.
'콘텐츠 수익화 실험실 > 주린이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코스피 2900 조정장에서 새로 매수한 종목들 (0) | 2021.02.01 |
---|---|
04) 짧은 조정 후 다시 상승장에 기쁜 주린이 (0) | 2021.01.24 |
02) 공부 없이 우량주만 산 주린이의 한달 차 정산 (0) | 2021.01.11 |
01) 달랑 주식책 하나 읽고, 주린이에서 동학개미가 되다. (0) | 2021.01.09 |
<존리의 부자되기 습관> 주린이에서 동학개미가 되기로 결심하다 (0) | 2021.01.07 |
댓글